오늘은 AI로 그림을 효과적으로 뽑아내는 프롬프트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AI 그림 생성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누구나 손쉽게 자신만의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Midjourney, DALL·E, Stable Diffusion 등 다양한 생성형 AI 도구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이제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더라도 상상만으로 멋진 이미지를 얻는 것이 가능해졌죠.
하지만 이러한 AI 툴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프롬프트(prompt)’ 작성 능력이 필수입니다. AI는 사용자가 입력한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프롬프트의 내용에 따라 결과물이 천차만별로 달라지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AI로 그림을 효과적으로 뽑아내는 프롬프트 작성법에 대해 세 가지 소주제로 나눠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프롬프트가 핵심
AI는 사람처럼 추상적인 표현을 ‘눈치’로 이해하지 못합니다. 프롬프트가 모호할수록 원하는 결과와 멀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AI가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묘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귀여운 고양이”라는 프롬프트는 너무 단순합니다. 이보다는 다음처럼 상세하게 묘사하면 AI가 훨씬 더 정밀하게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작고 통통한 몸집의 흰색 스코티시폴드 고양이, 파란 리본을 맨 채 창가에서 햇살을 받으며 졸고 있는 모습, 포근하고 따뜻한 색감, 고화질, 일러스트 스타일”
이렇게 프롬프트에 포함할 수 있는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제/대상: 무엇을 그릴 것인가? (예: 고양이, 성, 도시 등)
속성: 색상, 크기, 질감, 감정 표현 (예: 분홍색, 부드러운, 웃는 등)
배경: 배경이 어디인가? (예: 숲속, 도시 야경, 해변 등)
스타일: 리얼리즘, 일러스트, 픽셀 아트, 수채화 등
화질/비율: high-resolution, 4K, aspect ratio 16:9 등
이처럼 자세히 쪼개서 설명하는 습관을 들이면, AI가 좀 더 의도에 맞는 결과물을 생성하게 됩니다.
원하는 스타일과 아트워크 레퍼런스를 적극 활용하자
AI는 다양한 아트 스타일을 학습해왔기 때문에, 특정 화가의 느낌이나 특정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프롬프트에 넣으면 그에 맞는 이미지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in the style of Studio Ghibli”
“digital painting by Greg Rutkowski”
“anime style, soft shading, cinematic lighting”
“pixel art, 8-bit game scene, retro colors”
여기서 주의할 점은 저작권이 있는 작가명은 일부 AI 툴에서 필터링되거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대체 스타일 키워드를 잘 조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원하는 스타일이 있다면 비슷한 이미지를 참고 이미지로 업로드하고, 그에 맞는 키워드를 추가로 붙여주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예시:
“A futuristic cyberpunk city at night, glowing neon lights, wet pavement reflecting lights, ultra-detailed, high contrast, 4K, cinematic — inspired by Blade Runner”
이처럼 감성을 담은 스타일을 조합해서 입력하면 단순히 ‘도시’가 아니라 분위기까지 고려한 시각적 완성도 높은 이미지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반복 실험과 피드백을 통한 프롬프트 다듬기
프롬프트는 한 번에 완벽하게 작성하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여러 번 실험하고 결과를 비교해보며 점점 원하는 방향으로 조율하는 과정이 필수입니다.
다음은 반복 실험을 할 때 유용한 팁입니다:
조합 변경: 동일한 키워드라도 순서를 바꾸거나 강조어를 다르게 하면 결과가 달라집니다.
선호 키워드 파악: 자주 쓰는 스타일, 색감, 조명 표현 등 자신만의 단골 프롬프트 패턴을 만들어 두면 편합니다.
프롬프트 템플릿 만들기: 기본적인 구조를 정해두고, 세부 요소만 바꾸면서 다양하게 실험해 보세요.
결과를 저장하고 비교하기: 어떤 프롬프트가 어떤 결과로 이어졌는지 정리해두면 다음에 비슷한 작업을 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하나의 주제(‘우주 풍경’)에 대해 다른 스타일로 변형한 프롬프트들입니다:
“A peaceful alien landscape, soft pastel colors, dreamy sky, fantasy art, 4K”
“Dark and mysterious planet surface, detailed rocks, stars in the sky, dramatic lighting, digital painting”
“Pixel art of a sci-fi planet with purple skies and flying spaceships, 8-bit retro style”
이처럼 같은 주제라도 프롬프트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그 과정을 통해 본인만의 감각과 AI 조작 능력이 함께 발전하게 됩니다.
프롬프트는 새로운 ‘창작 언어’다
AI 그림 생성은 단순한 자동화가 아닙니다. 오히려 사용자가 얼마나 언어로 시각적 상상을 풀어낼 수 있느냐가 핵심입니다. 즉, 프롬프트는 창작의 새로운 언어이며, 그것을 잘 다룰수록 더욱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AI가 대신 그림을 그려준다고 해서 예술이 쉬워진 건 아닙니다. 오히려 상상력과 언어, 창의성의 조합이 더욱 중요해졌죠. 이 글에서 소개한 세 가지 방법 — ‘구체적 묘사’, ‘스타일 활용’, ‘반복 실험’ — 을 잘 익힌다면, 누구나 AI를 통해 자신만의 멋진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 바로 당신의 상상을 프롬프트로 표현해보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이미지를 AI가 당신의 손으로 그려줄지도 모릅니다.